by museonghwang

활성화 함수(Activation)와 비선형 함수(Non-linear function)

|

Activation function

오늘은 수학 분야에서도 딥러닝과 아주아주 밀접하고 직접적인 주제를 다루어보겠습니다. 바로 softmax나 ReLU 등 이미 익숙히 들어보셨을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입니다. 활성화 함수란 무엇일까요? “어떤 것이 활성화(activated)되었다” 라는 것을 들으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활성화(activated) or 비활성화(deactivated) 라는 것은 ‘어떤 조건을 만족 or 불만족했다’라는 것과 긴밀한 연관이 있습니다.

activation f

이미지 출처 : v7labs

즉 신경망 속의 퍼셉트론(perceptron) 혹은 노드(node)는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활성화’ 되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노드에 입력으로 들어오는 값이 어떤 ‘임계치’를 넘어가면 “활성화(activated)”되고, 넘어가지 않으면 “비활성화(deactivated)”되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즉 계단 함수(Step function)를 통해 출력값이 0이 될지, 1이 될지를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실제 뇌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 뉴런이 전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시냅스가 서로 화학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모방한 것입니다. 이렇게 은닉층과 출력층의 뉴런에서 출력값을 결정하는 함수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라고 합니다.

활성화 함수의 기본적 정의는 위와 같지만, 실제로 딥러닝에서 활성화 함수를 쓰는 결정적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신경망에 비선형성을 추가하여 딥러닝 모델의 표현력을 향상시켜주기 위해서인데요, 전문적인 용어로는 모델의 representation capacity 또는 expressivity 를 향상시킨다라고도 말합니다.

improve expressivity

활성화 함수는 모델의 표현력을 왜 향상시켜줄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만일 어떤 모델이 $w_1, b_1$이라는 2개의 parameter로 이루어진 다음과 같은 모델이라고 해보겠습니다.

\[f(x)=w_1x+b_1\]

그런데 이 모델로 $x^2, x^5, sin(x)$등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을까요? 답은 “그럴 수 없다” 입니다. 왜냐하면 $w_1, b_1$값을 아무리 바꿔도 $x^2, x^5, sin(x)$와 같은 함수는 절대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죠. 이를 수학적으로 말하면, '”선형” 함수(직선)로는 “비선형”함수(사인곡선 or $x^5$와 같은 고차항)를 표현할 수 없다’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잘 생각해 보시면 딥러닝 모델의 parameter($w,b$)들은 입력값 $x$와 선형 관계입니다. 왜냐하면, $wx+b$의 표현되는, 즉 곱하고 더하는 연산만 하면서 그다음 layer로 전달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아무리 많은 layer들을 겹쳐도 역시 그 결과는 선형 관계입니다. 따라서 사인 곡선처럼 직선으로는 근사 시킬 수 없는 (혹은 고양이나 강아지 사진처럼 무수히 많고 복잡한 특징들을 가진) 비선형 데이터를 표현하려면 딥러닝 모델도 비선형성을 지니고 있어야 합니다. 이때 쓰인 것이 바로 활성화 함수이고, 이 활성화 함수를 layer 사이사이에 넣어줌으로써 모델이 비선형 데이터도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Linear and Non-linear

딥러닝에서는 일반적으로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럼 선형 활성화 함수는 왜 딥러닝에서 사용되지 않는 걸까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선형(Linea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형(Linear)

선형 변환이란 ‘선형’이라는 규칙을 지키며 $V$, 공간상의 벡터를 $W$ 공간상의 벡터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activation f

그럼 자세하게 들어가서 먼저 선형 변환(linear transformation)이 어떤 것인지 정의하고 가겠습니다.

선형 변환(linear transformation) 정의

$V$와 $W$가 어떤 $(1)$벡터 공간이고 둘 모두 $(2)$실수 집합 $(3)$상에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때 함수 $(4) \mathcal{T}: V \rightarrow W$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할 때,

  • 가산성(Additivity) : 모든 $x, y \in V$에 대해, $\mathcal{T}(x+y) = \mathcal{T}(x)+ \mathcal{T}(y)$
  • 동차성(Homogeneity) : 모든 $x \in V, c \in \Bbb{R}$에 대해, $\mathcal{T}(cx) = c\mathcal{T}(x)$

위 2가지 성질을 만족한다면, 함수 $\mathcal{T}$를 선형 변환(linear transformation) 이라고 부릅니다.

(1) : 간단하게 말해서 벡터를 그릴 수 있는 공간입니다. 영상에서의 좌표 평면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 정확히 표현하면 같은 체(field)에 속해 있다고 해야 하나, 이 글에선 실수만 다루기 때문에 실수 집합 상에 있다고 표현했습니다. 체의 예로는 실수 집합 $\Bbb{R}$, 유리수 집합 $\Bbb{Q}$, 복소수 집합 $\Bbb{C}$ 등이 있습니다.

(3) : 실수 집합 상에 있다는 말은 $V$를 이루는 원소들이 실수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실수 집합 상의 $V$가 어떤 벡터들의 집합이라고 했을 때, 그 벡터는 실수 벡터(벡터의 각 원소가 실수)가 됩니다.

(4): 정의역(domain)이 $V$ 이고 공역(codomain)이 $W$ 인 함수 $\mathcal{T}$라는 의미입니다.

activation f

간단히 ’$\mathcal{T}$ 는 선형(linear) 이다.’ 라고 하기도 합니다. $\mathcal{T}$가 선형이라면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집니다.

$\mathcal{T}(0)=0$

모든 $x,y \in V$ 와 $c \in \Bbb{R}$ 에 대해 다음 식과 동치입니다. $\mathcal{T}(cx+y)=c\mathcal{T}(x)+\mathcal{T}(y)$

모든 $x,y \in V$ 에 대해 $\mathcal{T}(x-y)=\mathcal{T}(x)-\mathcal{T}(y)$ 는 $x_1, x_2, \dots, x_n \in V$ 과 $a_1, a_2, \dots, a_n \in \Bbb{R} $ 에 대해 다음의 식과 동치입니다.

\[\mathcal{T} \biggl(\displaystyle\sum_{i=1}^n a_ix_i \biggl) = \displaystyle\sum_{i=1}^n a_i\mathcal{T}(x_i)\]

예를 하나 들어보죠.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 $\mathcal{T} : R^2 \rightarrow R^2$ 는 선형일까요?

$\mathcal{T}(a_1,a_2) = (a_1+2a_2, a_2)$ 라고 정의를 하고, $c \in \Bbb{R}$이고 $(x_1, x_2), (y_1, y_2) \in \Bbb{R}^2$라고 하겠습니다. 그럼, $c(x_1,x_2)+(y_1,y_2)=(cx_1+y_1, cx_2+y_2)$ 이므로, 이를 이용해서 $\mathcal{T}(c(x_1,x_2)+(y_1,y_2))$ 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begin{aligned} \mathcal{T}(c(x_1,x_2)+(y_1,y_2)) & = \mathcal{T}(cx_1+y_1, cx_2+y_2) \\ & = (cx_1+y_1 + 2(cx_2+y_2), cx_2+y_2) \end{aligned}\]

또한,

\[\begin{aligned} c\mathcal{T}(x_1,x_2)+\mathcal{T}(y_1,y_2) & = c(x_1+2x_2,x_2)+(y_1+2y_2,y_2)\\ & = (cx_1+2cx_2+y_1+2y_2, cx_2+y_2)\\ & = (cx_1+y_1 + 2(cx_2+y_2),cx_2+y_2) \end{aligned}\]

이므로, $\mathcal{T}(c(x_1,x_2)+(y_1,y_2))=c\mathcal{T}(x_1,x_2)+\mathcal{T}(y_1,y_2)$ 입니다. 따라서 2번째 성질에 의해 $\mathcal{T}$ 는 선형 입니다.

비선형(Non-linear)

그렇다면 비선형은 뭘까요? 간단합니다. 선형이 아닌 함수를 비선형(Non-linear) 함수라고 합니다. 아래 함수 $f(x)$들을 살펴보고, 다음 질문에 답해 봅시다.

$1) f(x)=3x$

어떤 실수 $x,y,c$가 있다고 할 때, $f(cx+y)=3(cx+y)$이고, $cf(x)+f(y)=3cx+3y=3(cx+y)$이므로 $f$는 선형입니다.


$2) f(x)=x2$

어떤 실수 $x,y,c$가 있다고 할 때, $f(cx+y) = (cx+y)^2$이고, $cf(x)+f(y)=cx^2+y^2$이므로 $f$는 선형이 아닙니다.


$3) f(x)=\theta_0x_0 + \theta_1x_1(x=[x_0, x_1]은 벡터)$

주어진 식을 벡터의 형태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f(x)=θ_0x_0+θ_1x_1=[θ_0\ θ_1]⋅[x_0 \ x_1]=θx\]

어떤 벡터 $x, y \in \Bbb{R}^2$와 어떤 실수 $c$가 있다고 할 때,

\[\begin{aligned} f(cx+y)&=f([cx_0+y_0\ cx_1+y_1])\\ & =[θ_0\ θ_1]⋅[cx_0+y_0\ cx_1+y_1]\\&=θ_0(cx_0+y_0)+θ_1(cx_1+y_1) \end{aligned}\]

이고,

\[\begin{aligned} cf(x)+f(y)&=cθx+θy\\&=c(θ_0x_0+θ_1x_1)+θ_0y_0+θ_1y_1\\&= θ_0(cx_0+y_0)+θ_1(cx_1+y_1) \end{aligned}\]

이므로 $f$는 선형입니다.


비선형 함수를 쓰는 이유

그렇다면 왜 딥러닝에서는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주로 사용할까요?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딥러닝 모델의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입니다.

  • 그럼 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면 왜 표현력이 떨어지게 되는 걸까요?
  • 레이어를 충분히 쌓는다면 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한 모델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간단한 예시를 통해 알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activation f

위 그림과 같이 퍼셉트론 3개로 구성된 모델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입력값 $x$가 모델을 거치면 출력값 $y$가 됩니다. (여기서 입력값 $x$와 출력값 $y$는 스칼라값이고 $f$는 활성화 함수입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y = f(w_3f(w_2f(w_1x)))\]

여기서 $w_i$는 각 입력에 곱해지는 가중치이며, 편향값은 편의를 위해 $0$으로 두겠습니다. 이때 만약 $f$가 선형이라고 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f$가 선형이기 때문에 선형 함수의 정의에 의해 $f(w_1x) = w_1f(x)$로 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적용시키면 $w_1, w_2, w_3$을 아래의 식과 같이 합칠 수 있습니다.

\[\begin{aligned} y = f(w_3f(w_2f(w_1x))) & = f(w_3f(f(w_1w_2x)))\\ & = f(f(f(w_1w_2w_3x)))\\ & = f(f(f(Wx)))\\ \end{aligned}\]

여기서 $W = w_1w_2w_3$입니다.

activation f

위 그림과 같이 $w_i$가 서로 자리를 바꿀 수 있는 것은 $w_i$가 스칼라이기 때문입니다. 편의를 위해 순서대로 나열했습니다 (즉, $w_1w_2 = w_2w_1$). 이것의 의미는 가중치의 업데이트가 $w_1, w_2, w_3$셋 전부에서 일어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w_1, w_2, w_3$의 가중치를 모두 $1$로 초기화하고 모델을 훈련시켰을 때, 최종적으로 훈련된 모델의 가중치들이 $w_1’, w_2’, w_3’$라고 하겠습니다. 이것을 식으로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y = f(w_3'f(w_2'f(w_1'x)))\]

함수 $f$가 선형인 것을 이용해 식을 다음과 같이 바꾸어 보겠습니다.

\[y = f(f(f(W x)))\]

여기서 $W = w_1’ w_2’ w_3’$입니다. 이 식은, 사실상, $w_1, w_2, w_3$의 가중치를 모두 $1$로 초기화하고 모델을 훈련시켰을 때, $w_2$와 $w_3$은 업데이트되지 않게 고정시키고 $w_1$만 업데이트한 것과 같습니다. 즉, $w_2$나 $w_3$의 가중치가 어떻게 변하는지와 상관없이  $w_1$만 잘 업데이트되면 결과는 같다는 것이죠. 그럼 나가아서 $f(f(f(W x)))$를 $f^\star(W x)$로 표현할 수도 있을까요? 이렇게 하기 위해선 그냥 $f$함수 3개를 하나의 합성함수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그런데 선형 함수들의 합성함수도 선형일까요?

activation f

네, 선형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서 선형이 되는지 증명해 보고 넘어가도록 할까요?

선형 변환의 합성함수에 관한 정리

$V, W$ 그리고 $Z$ 가 실수 공간상의 벡터 공간이고, 함수 $\mathcal{T} : V \rightarrow W$ 와 함수 $\mathcal{U} : W \rightarrow Z$ 가 선형이라고 하면, 합성함수 $\mathcal{UT} : V \rightarrow Z$ 도 선형입니다.

$x, y \in V$이고 $a \in \Bbb{R}$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럼,

\[\begin{aligned} \mathcal{UT}(ax+y) & = \mathcal{U}(\mathcal{T}(ax+y)) \\ & = \mathcal{U}(a\mathcal{T}(x)+\mathcal{T}(y)) \\ & = a\mathcal{U}(\mathcal{T}(x)) + \mathcal{U}(\mathcal{T}(y)) \\ & = a\mathcal{U}\mathcal{T}(x) + \mathcal{U}\mathcal{T}(y) \end{aligned}\]

이므로, 선형의 성질에 의해 $\mathcal{UT}$도 선형입니다. 우리는 이제 선형함수의 합성함수 또한 선형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 정리에 의해 우리는 이제 $f(f(f(W x)))$를 $f^\star(W x)$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바로 3개의 노드를 1개로 줄여서 표현을 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activation f

결론적으로, 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한다면, 노드의 개수를 아무리 많이 붙여도 결국 하나의 노드를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 위에서 노드 3개를 사용한 모델은 결국 다음과 같이 단순한 식으로 표현이 됩니다.

\[y=model(x)=f(wx)=awx\]

여기서, 활성화 함수 $f$는 일반적인 선형 함수 $f(x) = ax$라고 하겠습니다. ($a$는 어떤 실수입니다.)

위 식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모델은 선형적 특성을 띠는 데이터만 예측할 수 있고, 비선형적 특성을 띠는 데이터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모델로 비선형 특성을 띠는 데이터를 예측하라는 것은 $ax$에서 $a$값을 바꾸어 $x^2$을 만들라는 것과 다름없죠.

다시 말해, 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한다면, 모델의 표현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자, 그럼 단일 노드가 아닌 layer들로 구성되어 있는 모델에서도 위와 같을까요?

지금부터는 Layer들을 쌓아도 활성화 함수가 선형이라면 모델의 표현력은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해 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input layer가 각각 1개, hidden layer는 2개(왼쪽 그림) or 1개(오른쪽)로 구성된 임의의 모델입니다.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은 활성화 함수이며, 두 모델 모두 선형 활성화 함수라고 보겠습니다.

activation f

먼저, 각 노드와 연결된 weight와 노드에서 연산된 값(=activation value)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겠습니다.

activation f

위와 같이 하나의 weight에는 양옆에 있는 layer와 연결이 되어있으므로, 3개의 index가 필요합니다.

\[w_n^{l,m}\]

$l : layer\ index,\ m:l번째\ layer의 \ node\ index,\ n:(l−1)번째 layer의 node\ index$

그리고, 노드에서 연산된 activation값은 2개의 index가 필요합니다.

\[a_j^l\ or\ a_j^{l-1}\]

$l : layer\ index,\ j:k번째\ layer의\ node\ index(그림에선\ m\ or\ n)$

그러면 지금부터 모델에서 임의의 노드를 선택하여 연산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왼쪽 모델에서 수행되는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2번째\ layer의\ 3번째\ node 값 : a_3^2=f(\Sigma_ix_iw_i^{2,3}) - (1)\] \[3번째\ layer의\ 1번째\ node 값 : a_1^3=f(\Sigma_ja_j^2w_j^{3,1}) - (2)\]

(2)번 식의 $a_j^2$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네, 2번째 layer의 $j$번째 node의 연산값입니다. 이제 $a_j^2$를 (1)번 식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2)식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a_1^3=f(\Sigma_ja_j^2w_j^{3,1}) - (2)\]

\[a_j^2=f(\Sigma_ix_iw_i^{2,j})\]

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고,

\[a_1^3=f(\Sigma_jf(\Sigma_ix_iw_i^{2,j})w_j^{3,1}) - (3)\]

여기서, 이전에 다루었던 “선형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면 (3)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a_1^3=f(f(x_1))(\Sigma_jw_1^{2,j}w_j^{3,1})+f(f(x_2))(\Sigma_jw_2^{2,j}w_j^{3,1})+... - (3)\]

너무 조그마한 notation이 많아 어지러우신가요? 조금만 참아주세요, 오른쪽 모델은 1줄이면 끝납니다! 오른쪽은 1개의 hidden layer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begin{aligned} a_2^2&=f(\Sigma_ix_iw_I^{2,3}) \\ &=f(x_1)w_1^{2,2}+f(x_2)w_2^{2,2}+...-(4) \end{aligned}\]

식 (3)과 (4)의 공통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input data의 각 $x_1,x_2,x_3,..$ 에 대해 항들이 독립적으로 분리 가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식 (3)과 (4)에서 $x_1$ 이 들어간 항을 볼까요?

(3)에 있는 $f(f(x_1))$는 선형함수를 2번 거친 것이므로 결국 선형 함수이겠죠? 따라서 식 (4)의 $f(x_1)$처럼 선형함수를 1번만 통과한 것으로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한편, 식 (3)의 $f(f(x_1))$과 곱해진 $\Sigma_jw_1^{2,j}w_j^{3,1}$부분은 여러 weight들의 덧셈과 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럼 결국 실수 하나가 나오겠네요? 그렇다면 식 (4)의 $f(x_1)$과 곱해진 $w_1^{2,2}$하나로도 표현이 가능합니다. 결국, 왼쪽 모델의 weight 개수가 아무리 많더라도 실수 하나의 값에 대응되므로 오른쪽 모델의 weight 한 개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activation f

위에 설명한 것을 간단하게 함축해서 표현하면 위와 같습니다. 결국 1번 $(w_1^{2,2})$ 은 2번 $(\Sigma_jw_1^{2,j}w_j^{3,1})$ 을 대체할 수 있고, $f’(x_1)(=f(f(x_1)))$ 은 $f(x_1)$ 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왼쪽 모델이 표현하는 모든 함수는, 오른쪽 모델이 항상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선형 함수의 성질”로 식 (3)의 각 항들을 풀면서 나타난 성질입니다. 이제 우리는 앞서 던졌던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다음과 같이 각 layer 마다 비선형 함수가 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activation f

기본적인 연산은 위에서 했던 것과 같으므로, 선형 변환하기 전의 과정은 생략하고 다음 그림과 함께 살펴만보고 마치겠습니다.

activation f